누구나 클릭하게 되는 블로그 제목 정하기 방법 8가지
블로그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포스팅의 제목입니다. 왜냐하면 글의 성격과 내용을 하나의 문장으로 압축해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제목을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 클릭(선택 받기)의 횟수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제목만 보고 클릭을 받는 방법 8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만일 제목 짓는데 어려움을 겪는 초보 블로거라면 집중해서 잘 봐주세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1. 제목과 본문 내용을 일치 시키기
당연한 얘기겠지만 제목과 본문의 내용은 밀접한 연관성(일치)을 가져야 됩니다. 낚시성 제목으로 관심을 끌고 난 후에 본문에서는 원래의 목적을 드러내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행동은 블로그 자체에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도 불쾌감을 일으키는 요소이기 때문에 제목과 본문을 일치시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2. 제목에는 메인키워드를 반드시 넣기
메인 키워드를 제목에 넣지 않으면, 검색조차 되기 어렵습니다. 검색 엔진은 제목에 담겨 있는 키워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 노출시켜 줍니다. 그 다음은 제목의 키워드와 본문의 내용이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죠. 쉽게 표현하자면 제목에 들어간 메인키워드는 네이게이션에 입력하는 목적지 주소와 같은 겁니다.
3. 제목의 길이는 30자 미만으로 만들기
제목은 대략 25~30 글자 정도가 좋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너무 짧으면 다른 문서의 제목과 유사성에서 문제가 되고, 너무 길게 되면 읽는 도중에 그 제목이 갖고 있는 의도가 변질되거나 잘못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길이로 만들어진다면 충분한 설명도 되고, 이용자들이 선택 하는데 훨씬 쉽게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4. 다른 문서의 제목과 조금이라도 다르게 만들기
모든 포털 사이트의 검색엔진에는 기본적으로 유사문서를 걸러내는 기능이 있습니다. 유사성이 증가할수록 좋지 않은 문서로 분류가 되고, 독창성이 증가할수록 좋은 문서로 판독합니다. 그래서 제목이 너무 짧으면 다른 문서와 거의 겹치게 되는 상황이 생기고, 이로 인해 상위 노출에도 영향이 생깁니다.
5. 시기, 유행에 맞는 제목 만들기
한 여름에 겨울철 용품을 소개하는 제목을 짓는다면 이용자들의 선택을 받을까요? 검색 로봇은 사람 대신 생각을 하고 판단하여 문서의 중요도, 적합도 등을 따집니다. 이 때 현재의 시간적 흐름에 맞는 제목을 우선적으로 노출해주려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도 당연히 최신 정보를 더 좋아하잖아요? 그런 심리를 검색 로직에 반영을 시켰답니다.
6. 제목에 카피라이팅 기술을 사용하기
카피라이팅 기술은 한 번 배워두면 정말 많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쓸 때는 기본이고, 다른 사람을 설득하고 싶을 때, 회사나 거래처에서 PPT 할 때 등 중요한 곳에서 쓰임새가 다양합니다. 그 기술을 블로그 제목에도 써먹는다면 당연히 클릭을 많이 받겠죠? 그렇게 되면 내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람도 늘어나게 되고 블로그는 힘을 갖게 됩니다.
7. 구체적인 표현으로 제목 만들기
구체적인 표현은 제가 이 포스팅 제목에도 써 먹은 방법입니다.
- 블로그 제목 만들기
- 누구나 클릭하게 되는 블로그 제목 만들기
- 누구나 클릭하게 되는 블로그 제목 정하기 방법 8가지
위 세가지 예시를 한 번 보시죠. 어떤 제목에 더 호감이 가죠? 이렇게 설명하니 한결 이해가 쉬울거라고 생각합니다. 숫자나 또렷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훨씬 극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답니다.
8. 최대한 두괄식 제목을 만들기
핵심 키워드가 문장 끝에 위치하면 정보 홍수 시대에 살아 남기 힘든 글이 됩니다. 여러번의 학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면이나 스마트폰 액정 기준으로 오른쪽보다 왼쪽, 아래쪽보다 위쪽에 시선이 훨씬 오래 머물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위 노출을 노리고, 메인 키워드를 왼쪽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지금까지 누구나 클릭하게 되는 블로그 제목 정하기 방법 8가지에 대해 알려 드렸는데 어떠신가요? 이 방법을 모르고 계셨다면, 내 글이 왜 선택을 덜 받는지 이해 되시죠? 앞으로 많은 분들의 선택을 받는 제목을 짓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런데, 제목도 중요하지만 내용이 훨씬 중요하다는건 당연하겠죠?
댓글